초등학교 5학년 1학기 과학 3단원. 태양계와 별
오랜만에 공부라, 수학과 과학 진도 체크를 함께 했습니다. 과학도 어느 새 진도를 많이 나갔더라구요.
태양계와 별 단원에서 틀린 문제와 외워야 할 부분 함께 확인했어요.
태양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이 스스로 충분히 공부한 것 같았습니다.
이왕에 나온 에너지... 에너지 보존 법칙에 대해서 가볍게 설명해 주었습니다.
에너지보존법칙은 닫힌 물리계에 작용하는 알짜힘이 0이면, 그 물리계의 총에너지는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고 일정하다는 법칙을 말한다. 이 법칙은 고립계의 총에너지는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고 일정하다고 표현되기도 한다.
물리계의 총에너지는 빛에너지, 열에너지, 소리 에너지, 전기에너지, 화학에너지, 핵에너지, 중력에너지, 탄성에너지, 생물에너지 등 모든 형태의 에너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근본적으로는 퍼텐셜에너지(또는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 그리고 정지에너지(또는 질량에너지)로 나타낼 수 있다. 핵분열이나 핵융합으로 방출되는 에너지는 정지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변환된 것일 뿐이다.
수평면에서 움직이는 자동차가 브레이크 작동으로 멈추는 경우, 자동차의 퍼텐셜에너지는 변함 없는데 운동에너지는 감소하였으므로 자동차와 수평면을 포함하는 지구로 이루어진 계의 역학적에너지는 감소한 셈이다. 하지만 마찰에 의한 열에너지 등 다른 형태의 에너지를 모두 고려하면 총에너지는 변하지 않는다.
에너지보존법칙은 아직까지 그에 위배되는 실험 결과는 없으며, 자연현상을 이해하는 데 아주 유용한 법칙 중 하나이다. 근본적으로는 '물리법칙은 시간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다'는 시간의 균일성(homogeneity of time)과 연관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에너지보존법칙 [Law of energy conservation] (물리학백과)
이렇게 복잡하게 설명한 건 아니구요, 가볍게
빛에너지=>열에너지(햇빛이 비추는 미끄럼틀이 뜨거워짐),
위치에너지=>운동에너지(들고 있던 지우개를 놓으면, 지우개가 떨어지는 원리)
등으로 예를 들어서 설명해 주었어요.
태양계에서 절대 빠지지 않고 나오는 문제들이죠.
태양계 행성의 크기 비교
태양계 행성의 거리 비교
보통은 수,금,지,화,목,토,천,해 만 외우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은데,
단원평가를 준비할 때는 행성의 크기와 행성간 거리 뿐만 아니라,
행성의 특징도 암기해서 가야 합니다.
행성과 항성(별)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알려주었습니다.
서울에서는 별을 관측하기가 무척이나 어렵습니다.
작년에 서울 근교 천문대를 찾아서 아이들과 1박 2일 체험을 가서 별도 관측하고, 과학에 대한 흥미도 한껏 올려 줄 계획이었는데, 이 나쁜 코로나19 때문에 모든 계획이 취소된 상태입니다.
백신을 통해 일상으로의 회복이 가능해지면, 아이들과 천문대를 찾아 볼 계획입니다. 빨리 그 시간이 오면 좋겠네요~!!
'홈스쿨 초등 과학 > 초등 5학년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물과 환경 - 초등학교 과학 5학년 2학기 과학(2단원) (3) | 2021.10.14 |
---|---|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 - 초등학교 5학년 1학기 과학(5단원) (0) | 2021.07.08 |
용해와 용액 - 초등학교 5학년 1학기 과학(4단원) (5) | 2021.05.14 |
온도와 열 - 초등학교 5학년 1학기 과학(2단원) (2) | 2021.04.22 |
초등 5학년 1학기 과학 [오투] (3) | 2021.04.01 |
댓글